컴포넌트
Post

Post

Post 컴포넌트는 포스트 형식의 줄글을 쓸 때 적용되는 스타일이에요. 각 스타일은 제목, 본문, 목록과 같은 구성요소로 나뉘어 있으며, 정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해요. 공지 사항이나 이벤트 페이지 등에 사용해요.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사용법

제목에서 사용하기

제목 스타일은 중요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분해요. 제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는 4가지 종류가 있어요.

  • Post.H1: 가장 큰 제목에 사용해요.
  • Post.H2: 큰 제목에 사용해요.
  • Post.H3: 일반적인 제목에 사용해요.
  • Post.H4: 작은 제목에 사용해요.
Editable Example
<div>
  <Post.H1>H1 제목 타이틀</Post.H1>
  <Post.H2>H2 제목 타이틀</Post.H2>
  <Post.H3>H3 제목 타이틀</Post.H3>
  <Post.H4>H4 제목 타이틀</Post.H4>
</div>

본문에서 사용하기

Post.Paragraph 컴포넌트는 기본 본문 스타일로, 주로 설명이 필요한 텍스트에 사용해요. 긴 문장을 잘 읽히도록 가독성 높은 글꼴과 적절한 여백을 제공해요.

Editable Example
<div>
  <Post.Paragraph>
    2018년 11월 22일부터 토스 가입 시 자동 발급되는 토스 계좌의 명칭이 {"'"}토스머니{"'"}로 변경됩니다.
    <br />
    <br />
    또한, 토스 제휴 금융사 계좌 개설 시 자동 삭제되었던 토스머니가 다시 생성되며, 앞으로 모든 연락처 송금은
    토스머니로 입금됩니다.
  </Post.Paragraph>
  <Post.Paragraph typography="t7">
    2018년 11월 22일부터 토스 가입 시 자동 발급되는 토스 계좌의 명칭이 {"'"}토스머니{"'"}로 변경됩니다.
    <br />
    <br />
    또한, 토스 제휴 금융사 계좌 개설 시 자동 삭제되었던 토스머니가 다시 생성되며, 앞으로 모든 연락처 송금은
    토스머니로 입금됩니다.
  </Post.Paragraph>
</div>

목록에서 사용하기

관련된 정보를 항목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이해하기 쉽게 제공해요. 목록 스타일은 순서가 필요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뉘어 있어요. 순서가 필요한 경우에는 Post.Ol 컴포넌트를 사용해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Post.Ul 컴포넌트를 사용해요.

각 항목을 표시할 경우에는 Post.Li 컴포넌트를 사용해요. Post.Li 컴포넌트는 부모 요소인 Post.Ol, Post.Ul에 포함하여 사용해요.

순서가 필요할 때

Post.Ol 컴포넌트는 순서가 필요한 항목을 번호로 표시해요. 주로 단계별 지시 사항이나 절차를 안내하는데 적합해요.

Editable Example
<Post.Ol>
  <Post.Li>
    2018년 11월 22일부터 토스 가입 시 자동 발급되는 토스 계좌의 명칭이 {"'"}토스머니{"'"}로 변경됩니다.
  </Post.Li>
  <Post.Li>
    리스트 텍스트
    <Post.Ol>
      <Post.Li>리스트 안의 리스트 텍스트</Post.Li>
      <Post.Li>
        리스트 안의 리스트 텍스트
        <Post.Ol>
          <Post.Li>리스트 안의 리스트 텍스트</Post.Li>
          <Post.Li>리스트 안의 리스트 텍스트</Post.Li>
        </Post.Ol>
      </Post.Li>
    </Post.Ol>
  </Post.Li>
  <Post.Li>
    리스트 텍스트
    <Post.Ol>
      <Post.Li>리스트 안의 리스트 텍스트</Post.Li>
    </Post.Ol>
  </Post.Li>
</Post.Ol>

순서가 필요하지 않을 때

Post.Ul 컴포넌트는 순서가 필요하지 않은 항목을 불릿 형태로 표시해요. 주로 간단한 정보나 조건 목록 등에 적합해요.

Editable Example
<Post.Ul>
  <Post.Li>
    2018년 11월 22일부터 토스 가입 시 자동 발급되는 토스 계좌의 명칭이 {"'"}토스머니{"'"}로 변경됩니다.
  </Post.Li>
  <Post.Li>
    리스트 텍스트
    <Post.Ul>
      <Post.Li>리스트 안의 리스트 텍스트</Post.Li>
      <Post.Li>
        리스트 안의 리스트 텍스트
        <Post.Ul>
          <Post.Li>리스트 안의 리스트 텍스트</Post.Li>
          <Post.Li>리스트 안의 리스트 텍스트</Post.Li>
        </Post.Ul>
      </Post.Li>
    </Post.Ul>
  </Post.Li>
  <Post.Li>
    리스트 텍스트
    <Post.Ul>
      <Post.Li>리스트 안의 리스트 텍스트</Post.Li>
    </Post.Ul>
  </Post.Li>
</Post.Ul>

구분선 사용하기

Post.Hr 컴포넌트는 요소 주위에 선을 그려서 요소 간의 구분을 명확히 하고 싶을 때 사용해요. UI 요소 간의 명확한 구분과 계층 구조를 표현할 수 있어요.

Editable Example
<div>
  <Post.Paragraph>
    2018년 11월 22일부터 토스 가입 시 자동 발급되는 토스 계좌의 명칭이 {"'"}토스머니{"'"}로 변경됩니다.
  </Post.Paragraph>
  <Post.Hr />
  <Post.Paragraph>
    2018년 11월 22일부터 토스 가입 시 자동 발급되는 토스 계좌의 명칭이 {"'"}토스머니{"'"}로 변경됩니다.
  </Post.Paragraph>
</div>

인터페이스

PostH1Props

속성기본값타입
typography
"t2"
"t1"|"st1"|"st2"|"st3"|"t2"|"st4"|"st5"|"st6"|"t3"|"st7"|"t4"|"st8"|"st9"|"t5"|"st10"|"t6"|"st11"|"t7"|"st12"|"st13"
텍스트의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을 지정해요. 각 스타일은 텍스트의 크기, 굵기, 간격 등을 다르게 설정해서 다양한 화면 환경과 디자인 요구를 만족해요. `t1` ~ `t7`: 주로 본문 텍스트에 사용하는 크기와 굵기 스타일이에요. `st1` ~ `st13`: 서브 타이틀 또는 부가적인 텍스트에 적합한 스타일이에요. 예를 들어, `st1`은 작은 본문이나 설명 텍스트에 적합하고, `st10`은 강조 텍스트에 사용하기 좋아요.
paddingBottom
-
string|number
텍스트 아래 여백 크기를 결정해요. 단위는 `px`이에요. 예를 들어, `paddingBottom={10}`으로 설정하면 강조 영역 내부에 10px의 여백이 생겨요.

PostH2Props

속성기본값타입
typography
"t3"
"t1"|"st1"|"st2"|"st3"|"t2"|"st4"|"st5"|"st6"|"t3"|"st7"|"t4"|"st8"|"st9"|"t5"|"st10"|"t6"|"st11"|"t7"|"st12"|"st13"
텍스트의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을 지정해요. 각 스타일은 텍스트의 크기, 굵기, 간격 등을 다르게 설정해서 다양한 화면 환경과 디자인 요구를 만족해요. `t1` ~ `t7`: 주로 본문 텍스트에 사용하는 크기와 굵기 스타일이에요. `st1` ~ `st13`: 서브 타이틀 또는 부가적인 텍스트에 적합한 스타일이에요. 예를 들어, `st1`은 작은 본문이나 설명 텍스트에 적합하고, `st10`은 강조 텍스트에 사용하기 좋아요.
paddingBottom
-
string|number
텍스트 아래 여백 크기를 결정해요. 단위는 `px`이에요. 예를 들어, `paddingBottom={10}`으로 설정하면 강조 영역 내부에 10px의 여백이 생겨요.

PostH3Props

속성기본값타입
typography
"st8"
"t1"|"st1"|"st2"|"st3"|"t2"|"st4"|"st5"|"st6"|"t3"|"st7"|"t4"|"st8"|"st9"|"t5"|"st10"|"t6"|"st11"|"t7"|"st12"|"st13"
텍스트의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을 지정해요. 각 스타일은 텍스트의 크기, 굵기, 간격 등을 다르게 설정해서 다양한 화면 환경과 디자인 요구를 만족해요. `t1` ~ `t7`: 주로 본문 텍스트에 사용하는 크기와 굵기 스타일이에요. `st1` ~ `st13`: 서브 타이틀 또는 부가적인 텍스트에 적합한 스타일이에요. 예를 들어, `st1`은 작은 본문이나 설명 텍스트에 적합하고, `st10`은 강조 텍스트에 사용하기 좋아요.
paddingBottom
-
string|number
텍스트 아래 여백 크기를 결정해요. 단위는 `px`이에요. 예를 들어, `paddingBottom={10}`으로 설정하면 강조 영역 내부에 10px의 여백이 생겨요.

PostH4Props

속성기본값타입
typography
"t5"
"t1"|"st1"|"st2"|"st3"|"t2"|"st4"|"st5"|"st6"|"t3"|"st7"|"t4"|"st8"|"st9"|"t5"|"st10"|"t6"|"st11"|"t7"|"st12"|"st13"
텍스트의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을 지정해요. 각 스타일은 텍스트의 크기, 굵기, 간격 등을 다르게 설정해서 다양한 화면 환경과 디자인 요구를 만족해요. `t1` ~ `t7`: 주로 본문 텍스트에 사용하는 크기와 굵기 스타일이에요. `st1` ~ `st13`: 서브 타이틀 또는 부가적인 텍스트에 적합한 스타일이에요. 예를 들어, `st1`은 작은 본문이나 설명 텍스트에 적합하고, `st10`은 강조 텍스트에 사용하기 좋아요.
paddingBottom
-
string|number
텍스트 아래 여백 크기를 결정해요. 단위는 `px`이에요. 예를 들어, `paddingBottom={10}`으로 설정하면 강조 영역 내부에 10px의 여백이 생겨요.

PostParagraphProps

속성기본값타입
typography
-
"t1"|"st1"|"st2"|"st3"|"t2"|"st4"|"st5"|"st6"|"t3"|"st7"|"t4"|"st8"|"st9"|"t5"|"st10"|"t6"|"st11"|"t7"|"st12"|"st13"
텍스트의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을 지정해요. 각 스타일은 텍스트의 크기, 굵기, 간격 등을 다르게 설정해서 다양한 화면 환경과 디자인 요구를 만족해요. `t1` ~ `t7`: 주로 본문 텍스트에 사용하는 크기와 굵기 스타일이에요. `st1` ~ `st13`: 서브 타이틀 또는 부가적인 텍스트에 적합한 스타일이에요. 예를 들어, `st1`은 작은 본문이나 설명 텍스트에 적합하고, `st10`은 강조 텍스트에 사용하기 좋아요.
paddingBottom
-
string|number
텍스트 아래 여백 크기를 결정해요. 단위는 `px`이에요. 예를 들어, `paddingBottom={10}`으로 설정하면 강조 영역 내부에 10px의 여백이 생겨요.

PostOlProps

속성기본값타입
typography
-
"t1"|"st1"|"st2"|"st3"|"t2"|"st4"|"st5"|"st6"|"t3"|"st7"|"t4"|"st8"|"st9"|"t5"|"st10"|"t6"|"st11"|"t7"|"st12"|"st13"
텍스트의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을 지정해요. 각 스타일은 텍스트의 크기, 굵기, 간격 등을 다르게 설정해서 다양한 화면 환경과 디자인 요구를 만족해요. `t1` ~ `t7`: 주로 본문 텍스트에 사용하는 크기와 굵기 스타일이에요. `st1` ~ `st13`: 서브 타이틀 또는 부가적인 텍스트에 적합한 스타일이에요. 예를 들어, `st1`은 작은 본문이나 설명 텍스트에 적합하고, `st10`은 강조 텍스트에 사용하기 좋아요.
paddingBottom
-
string|number
텍스트 아래 여백 크기를 결정해요. 단위는 `px`이에요. 예를 들어, `paddingBottom={10}`으로 설정하면 강조 영역 내부에 10px의 여백이 생겨요.

PostUlProps

속성기본값타입
typography
-
"t1"|"st1"|"st2"|"st3"|"t2"|"st4"|"st5"|"st6"|"t3"|"st7"|"t4"|"st8"|"st9"|"t5"|"st10"|"t6"|"st11"|"t7"|"st12"|"st13"
텍스트의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을 지정해요. 각 스타일은 텍스트의 크기, 굵기, 간격 등을 다르게 설정해서 다양한 화면 환경과 디자인 요구를 만족해요. `t1` ~ `t7`: 주로 본문 텍스트에 사용하는 크기와 굵기 스타일이에요. `st1` ~ `st13`: 서브 타이틀 또는 부가적인 텍스트에 적합한 스타일이에요. 예를 들어, `st1`은 작은 본문이나 설명 텍스트에 적합하고, `st10`은 강조 텍스트에 사용하기 좋아요.
paddingBottom
-
string|number
텍스트 아래 여백 크기를 결정해요. 단위는 `px`이에요. 예를 들어, `paddingBottom={10}`으로 설정하면 강조 영역 내부에 10px의 여백이 생겨요.

PostHrProps

속성기본값타입
paddingBottom
-
string|number
구분선의 아래 여백 크기를 결정해요. 단위는 `px`이에요. 예를 들어, `paddingBottom={10}`으로 설정하면 강조 영역 내부에 10px의 여백이 생겨요.